[리눅스 커널] 커널 자료구조
reference : 리눅스 커널 심층 분석, 로버트 러브 지음, 황정동 옮김 6장 커널 자료구조 1. 연결 리스트 연결 리스트는 노드라고 부르는 가변적인 개수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정적 배열과 달리 연결 리스트는 동적으로 데이터를 새엇ㅇ해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컴파일 시점에 미리 개수를 알 수 없는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가 한꺼번에 동시에 만들어지지 않으므로, 이 데이터는 인접한 메모리 공간에 모여 있지 않을 수 있다.따라서 데이터를 서로 연결시키는 방법이 있어야 하므로 리스트의 각 데이터에는 다음 데이터의 위치를 가리키는 next 포인터가 들어 있다. 리스트에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때는 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조정하면 된다. 단일 연결리스트와 이중 연결 리스트 연결 리스트를 나타내는 가장 단순한 자료구조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 연결 리스트의 데이터 항목 */ struct list_element { void *data; /* 항목에 담긴 데이터(payload) */ struct list_element *next; /* 다음 항목을 가리키는 포인터 */ }; 이중 연결 리스트를 나타내는 자료구조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 연결 리스트의 데이터 항목 */ struct list_element { void *data; /* 항목에 담긴 데이터(payload) */ struct list_element *next; /* 다음 항목을 가리키는 포인터 */ struct list_ele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