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커널 파일시스템 기본 [1]

이미지
파일시스템이란 하드디스크, SSD,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저장장치 위에 파일과 디렉터리를 체계적으로 정리(organize)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파일시스템의 종류는 매우 다양합니다 (FAT, ext4, btrfs, NTFS 등). 그리고 한 대의 컴퓨터에서 같은 파일시스템 종류가 여러 개 동시에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파일시스템마다 파일과 디렉터리, 사용자 데이터, 그리고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는 방식이 서로 다르긴 하지만, 거의 모든 파일시스템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몇 가지 기본 개념들이 있습니다 (이 중 일부 개념은 저장장치(storage)와 메모리 양쪽에 존재하고, 일부는 메모리에만 존재합니다.): 슈퍼블록(superblock) : 해당 파일시스템의 기본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블록 크기, 루트 아이노드, 파일시스템 전체 크기 같은 정보죠. 슈퍼블록은 저장장치와 메모리 모두에 존재하는데, 메모리에는 속도 향상을 위한 캐싱 용도로 복사되어 있습니다. 파일(file) :현재 열려있는 파일에 관한 정보(예: 현재 읽기 위치 등)를 담고 있는데, 이 정보는 메모리에만 존재합니다. 아이노드(inode) : 아이노드는 디스크에 저장된 파일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역할을 합니다. 아이노드는 파일 크기, 접근 권한, 파일 종류 등 다양한 속성도 함께 가지고 있죠. 이 아이노드는 저장장치와 메모리 양쪽에 존재하며, 메모리에는 캐시 목적 등으로 복사되어 있습니다. 덴트리(dentry) : 덴트리(dentry)는 파일 이름과 아이노드(inode)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덴트리 역시 저장장치와 메모리 양쪽에 존재하며, 메모리에는 캐싱 목적으로 복사되어 있습니다. struct ext4_inode 내부의 i_block에서 스토리지의 각 block들을 가리킨다. EXT4_N_BLOCKS 크기는 15로 ext4가 지원하는 데이터 블록 주소 지정 방식의 표준 크기이며, 이를 통해 작은 파일부터 아주 큰 파일까지 효율적으로 저장 위치를 관리할 수 있습니...

[C] queue


#define QUEUESIZE 256 //size변경하면서 테스트 해볼 것
#define TRUE 1
#define FALSE 0


typedef struct{
  int q[QUEUESIZE+1];
  int first;
  int last;
  int count;
} queue;

/*큐에 대한 함수(circular queue)*/
void init_queue(queue *q) //큐 초기화
{
  q->first = 0;
  q->last = QUEUESIZE-1;
  q->count = 0;
}

void enqueue(queue *q, int x) //큐에 값을 저장하는 함수
{
  if (q->count >= QUEUESIZE)
    printf("Warning: queue overflow enqueue x=%d\n", x);
  else{
    q->last = (q->last+1) % QUEUESIZE;
    q->q[ q->last ] = x;
    q->count = q->count+1;
  }
}

int dequeue(queue *q) //큐에서 값을 빼오는 함수
{
  int x;

  if(q->count <= 0) printf("Warning: empty queue dequeue.\n");
  else{
    x = q->q[ q->first ];
    q->first = (q->first+1) % QUEUESIZE;
    q->count = q->count - 1;
  }

  return(x);
}

int empty(queue *q) //큐가 비었는지 확인하는 함수, 비었으면 TRUE리턴
{
  if(q->count <= 0) return(TRUE);
  else return(FALSE);
}
/*큐에 대한 함수 끝*/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FPGA] Rocket Chip Generator

리눅스 커널 파일 시스템 [2] 코드 분석 - generic_file_read_i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