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커널 파일시스템 기본 [1]

이미지
파일시스템이란 하드디스크, SSD,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저장장치 위에 파일과 디렉터리를 체계적으로 정리(organize)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파일시스템의 종류는 매우 다양합니다 (FAT, ext4, btrfs, NTFS 등). 그리고 한 대의 컴퓨터에서 같은 파일시스템 종류가 여러 개 동시에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파일시스템마다 파일과 디렉터리, 사용자 데이터, 그리고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는 방식이 서로 다르긴 하지만, 거의 모든 파일시스템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몇 가지 기본 개념들이 있습니다 (이 중 일부 개념은 저장장치(storage)와 메모리 양쪽에 존재하고, 일부는 메모리에만 존재합니다.): 슈퍼블록(superblock) : 해당 파일시스템의 기본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블록 크기, 루트 아이노드, 파일시스템 전체 크기 같은 정보죠. 슈퍼블록은 저장장치와 메모리 모두에 존재하는데, 메모리에는 속도 향상을 위한 캐싱 용도로 복사되어 있습니다. 파일(file) :현재 열려있는 파일에 관한 정보(예: 현재 읽기 위치 등)를 담고 있는데, 이 정보는 메모리에만 존재합니다. 아이노드(inode) : 아이노드는 디스크에 저장된 파일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역할을 합니다. 아이노드는 파일 크기, 접근 권한, 파일 종류 등 다양한 속성도 함께 가지고 있죠. 이 아이노드는 저장장치와 메모리 양쪽에 존재하며, 메모리에는 캐시 목적 등으로 복사되어 있습니다. 덴트리(dentry) : 덴트리(dentry)는 파일 이름과 아이노드(inode)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덴트리 역시 저장장치와 메모리 양쪽에 존재하며, 메모리에는 캐싱 목적으로 복사되어 있습니다. struct ext4_inode 내부의 i_block에서 스토리지의 각 block들을 가리킨다. EXT4_N_BLOCKS 크기는 15로 ext4가 지원하는 데이터 블록 주소 지정 방식의 표준 크기이며, 이를 통해 작은 파일부터 아주 큰 파일까지 효율적으로 저장 위치를 관리할 수 있습니...

[TMUX] TMUX copy tutorial

TMUX 카피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TMUX 카피는 TMUX 터미널에 띄어져 있는 텍스트들을 복사하고 붙여넣을 수 있는 기능이다. (TMUX 카피 모드라고도 하는 듯)

1. 먼저 configuration 파일을 만들자.
$ cd ~
$ vim .tmux.conf

2. .tmux.conf에 아래 내용을 추가한다.
# Remap prefix from 'C-b' to 'C-a'
# TMUX에서는 Ctrl + b를 먼저 눌러서 커맨드를 입력하는데 Ctrl 키에서 b가 멀어서 a로 맵핑하는 설정. 아래 세 줄
unbind C-b
set-option -g prefix C-a
bind-key C-a send-prefix

# vi mode 이용
setw -g mode-keys vi

# vi 에 익숙한 사람을 위한 키 리맵핑
unbind [
bind Escape copy-mode
unbind p
bind p paste-buffer
bind-key -t vi-copy 'v' begin-selection
bind-key -t vi-copy 'y' copy-selection
3. .tmux.conf 파일을 종료한다.

4. tmux를 켜고 복사 & 붙여넣기를 해보자.

Ctrl + a
Esc
# 카피 모드에 들어왔다. 커서를 복사를 시작할 곳으로 옮기자. hjkl 키를 이용한다.
v
# 복사를 끝낼 곳으로 커서를 옮기자. y를 누르면 복사가 된다.
y
# 붙여넣을 곳으로 이동해서 붙여넣기를 하자. vi의 경우 편집모드로 변환한 뒤에 붙여넣기를 하자.
Ctrl + a
p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FPGA] Rocket Chip Generator

리눅스 커널 파일 시스템 [2] 코드 분석 - generic_file_read_iter()